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it 끄적이기 2020. 8. 24. 02:54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국민연금 수령액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국민연금이란?

 

나라에서 시행하는 사회보장정책으로, 특수직 종사자를 제외한 전 국민을 목표로 시행되는 공적연금정책입니다. 소득활동을 할 때 약간씩 보험료를 내 모아두었다가 연세가 들거나, 갑작스러운 사고나 질병으로 사망 또는 장애를 입어 소득 행동이 금지된 경우, 스스로나 유족에게 연금을 지급함으로써 기본생존을 관리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직접 운영하는 소득보장정책인데요.

 

 

특별법에 따라 연금이 적용되는 공무원군인사립학교 교직원 등을 제외한 18세 이상으로 60세 미만의 국내부에 거주하는 국민을 목표로 1988년 1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습니다. 가입이 법적으로 의무화돼 있으며 그 종류는 노령연금, 장애연금, 유족연금, 반환일시금의 4가지가 있습니다.

 

 

1999년 4월 1일 도시자영업자에 대하여 국민연금정책수립자 확대됨에 따라서 전 국민 연금시대가 시작되었고 국민연금 생애 평균 국부의 60% 수준의 급여율을 소유하며 노령연금을 받기 위한 최소 가입 기간은 1999년부터 15년에서 10년으로 단축되고 있습니다. 연금 수령나이는 현행 60세에서 2013년 이후 5년 단 이상으로 한 살씩 증가하므로 2033년에는 65세로 연장됩니다.

 

 

 

국민연금 수령액 바로 알아보기

  

 

국민연금 가입 대상(프로젝트장가입자 / 지역가입자)

 

공적연금가입자(공무원, 군인, 사립학교교직원 등)를 제외한 18세 이상으로 60세 미만의 대한민국 국민과 국민연금 가입 프로젝트 장에 종사하는 외국인과 국내 거주 외국인은 강제적으로 국민연금에 가입해야 하며 가입 대상은 프로젝트증가입자와 지역가입자, 임의가입자, 임의계속가입자(65세까지 가입 신청한 자)로 나뉩니다. 국민연금 의무프로젝트 장에 종사하지 않는 사람은 지역가입자로 국민연금에 가입해야 합니다. 보험료율은 프로젝트증가입자는 소득의 9%를 본인과 프로젝트 장의 이용자가 4.5%씩 부담하고, 지역임의임의계속 가입자는 소득의 9%를 스스로 전액 부담합니다.

 

 

 

 

 

국민연금 급여(노령연금 / 장애연금 / 유족연금 / 반환일시금)

 

국민연금급여는 가입자가 노령이나 질병, 사망 때문에 소득능력이 상실 또는 감퇴하였을 때 스스로나 유족의 생존을 보장하기 위하여 지급됩니다. 국민연금급여의 종류에는 십 년 이상으로 가입하고 60세부터 지급되는 노령연금, 가입 중에 발생한 질병 또는 부상으로 장애가 남아 있을 때 지급되는 장애연금, 연급수급권자가 사망한 경우 그 유족에게 지급되는 유족연금 등이 있습니다.

이와 같은 연금급여의 수급요건을 충족하지 못하고 중도에 지위를 상실하거나 사망한 경우에는 본인 또는 그 유족에게 반환일시금이나 사망일시금이 지급됩니다. 

 

 

 

 

100세 세대라는 말이 더 이상으로 새롭지 않은 사회를 살아가고 있다고 합니다.면, 젊었을 때부터 노후 준비 대책을 준비해야 합니다. 국민연금기금 고갈 세대가 기존 예상보다 3~4년 빨라진 2050년대 중후반이 될 것이라는 전체 전망이 나오면서 보험료율 인상 논쟁이 잊을 만 한다면 지속해서 불붙고 있는데요.  고갈을 늦추기 위해선 언제가 됐든 보험료율 인상이 불가피하기 때문입니다. 가계와 기업에 추가 부담이 커 당장 보험료율 인상은 안 되고요는 측과 계속 미루다 미래 시대에 부담을 다 떠넘길 것이냐는 측이 팽팽히 맞서고 있는데요.

 

 

 

 

 

본인의 노후 준비 상태를 점검하기 위해서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은 국민연금 홈페이지(http://www.nps.or.kr) 혹은 NPB 내 연금(국민연금 노후전개인 비 서비스) 홈페이지(http://csa.nps.or.kr)에 접속해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를 할 수가 있습니다.

 

 

생각으로 여기에서의 예상 연금액은 당장까지 낸 보험료 기준으로 연금 수급 가능한 세대 혹은 만 60세까지 계속 납부를 할 것입니다.는 가정에 따라 계산된 금액입니다.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한다면 당장 계산된 금액을 알 수 있으며,  공인인증서가 없다면 홈페이지의 예상연금강단조회에서 직접 월 납부금을 직접 입력하거나 예상연금 모의계산에서 소득을 직접 입력하는 방도로도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를 할 수가 있습니다.

 

 

 

국민연금 홈페이지에서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국민연금 수령액

 

1. 국민연금 홈페이지에 들어가시면 밑쪽의 화면이 나옵니다. 개인건의을 클릭합니다.

 

 

2. 조회에서 예상연금액 조회를 클릭합니다.

 

 

3. 밑쪽의 팝업 차이 뜹니다. 국민연금 예상연금액 알아보기를 클릭합니다.

 

 

4. 밑쪽의 화면에서 노령연금조회를 클릭합니다.

 

 

5. 아래와 같이 예상연금액 세전/세후로 보완이 가능합니다.

 

국민연금 수령액

 

 

노후전개인 비 서비스에서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1. NPB 내 연금(국민연금 노후전개인 비 서비스) 홈페이지에 들어가시면 밑쪽의 화면이 나옵니다. 국민연금 예상액을 클릭합니다.

 

 

 

 

 

 

2. 국민연금 홈페이지에서 진행했던 사이트로 취합하게 진행이 됩니다. 위의 4, 5번으로 반복이 됩니다.

 

 

 

모바일 NPS 내 연금으로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국민연금 수령액

국민연금 서비스는 구글 플레이의 안드로이드 앱을 거쳐서도 국민연금 수령액 알아보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모바일 서비스를 거쳐서 국민연금공단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주요 행정처리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캡처 기능이 되지 않아서 사진을 올릴 수가 없네요. 실제 보완은 휴대폰으로 보완하시는 게 더 편합니다. ^^)

 

연금 내용은 당연히 알림 마당을 거쳐서 PC 홈페이지와 취합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개인 전자 건의 신고 및 신청, 조회 등의 업무처리, 그리고 4대 보험 계산기를 거쳐서 국민연금, 고용보험, 건강보험, 산재보험의 보험료를 간단히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

 

댓글
댓글쓰기 폼